
돌발성 발진[Exanthema subitum]
1. 정의
돌발성 발진은 생후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영유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양성 급성 전염병으로, ‘소아 장미진(roseola infantum)’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갑작스러운 고열이 며칠간 지속되다가 열이 내리면서 전신에 발진이 나타난다.
정의 | 설명 |
---|---|
돌발성 발진 |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 고열 후 발진이 나타남 |
2. 원인
돌발성 발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HHV-6 또는 HHV-7)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사람만이 유일한 숙주이며, 이 바이러스를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라고도 한다. 바이러스가 영유아에게 전파되면서 질병이 시작된다.
원인 바이러스 | 설명 |
---|---|
HHV-6, HHV-7 |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 |
3. 증상
돌발성 발진의 주요 증상은 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3941°C에 이르는 고열이 34일간 지속된다는 것이다. 이후 열이 내리면 발진이 나타난다. 고열이 나는 동안 아기는 보채고 식욕이 떨어지며, 열성 경련을 보이기도 한다. 발진은 주로 몸통, 목, 귀 뒤에서 시작되며 얼굴이나 다리에서는 적게 나타난다. 발진은 대부분 빠르게 사라지며,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뒷머리, 목, 귀 뒤의 림프절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증상 | 설명 |
---|---|
고열 | 3941°C의 고열이 34일간 지속 |
발진 | 고열이 내린 후 몸통, 목, 귀 뒤에 발진이 발생 |
림프절 비대 | 목, 귀 뒤 림프절이 커지는 경우가 있음 |
4. 진단/검사
돌발성 발진을 진단할 수 있는 특별한 검사 방법은 없다. 진단은 주로 환자의 병력, 증상, 진찰 소견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갑작스러운 고열과 발진이 나타나는 패턴을 기반으로 진단이 이루어진다.
진단 방법 | 설명 |
---|---|
병력, 증상 기반 진단 | 고열 후 발진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하여 진단 |
5. 치료
돌발성 발진의 치료는 대증요법(증상 완화)을 위주로 하며,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대부분의 경우 6~7일 내에 자연 치유된다. 고열로 인해 아이가 보챌 경우 해열제를 사용하고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열제로는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스피린은 피해야 한다.
치료 방법 | 설명 |
---|---|
대증요법 | 증상 완화 치료, 6~7일 내 자연 치유 |
해열제 |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 사용, 아스피린은 피함 |
6. 경과/합병증
대부분의 소아는 돌발성 발진에서 합병증 없이 자연 치유된다. 열성 경련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경미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된다.
경과 | 설명 |
---|---|
자연 치유 | 6~7일 내 자연적으로 치유됨 |
열성 경련 | 일부 환자에서 발생 가능, 대체로 경미함 |
7. 예방/생활습관
돌발성 발진은 바이러스가 증상 없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 예방이 어렵다. 그러나 접촉 감염을 통해 전파되므로,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위생 습관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 방법 | 설명 |
---|---|
손 씻기 | 접촉 감염 예방을 위한 기본적인 위생 관리 |
8. 더 알아둘 점
- 돌발성 발진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므로 전염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심각한 전염병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 아이가 고열이나 발진 증상이 심할 때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지만, 증상이 호전되면 큰 문제는 없다.
- 열이 내리고 발진이 사라진 후에 따로 특별한 조치는 필요하지 않으나, 아이의 회복 상태를 관찰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9. 결론
돌발성 발진은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대부분은 자연 치유되며 심각한 합병증 없이 회복된다. 기본적인 위생 습관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날 때는 해열제 사용과 충분한 수분 공급으로 대증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