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홍열 [Scarlet fever]

1. 정의

성홍열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영유아 및 소아기의 감염성 전염병이다. 이 병은 피부 발진이 원숭이의 붉은 피부색과 유사하다고 하여 성홍열로 명명되었다.

2. 원인

성홍열은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한다. 주된 전파 경로는 비말 감염이며,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의 분비물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성홍열 원인]
원인설명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주로 비말이나 직접 접촉을 통해 전염됨
비말 감염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등으로 분비된 비말을 통해 전파됨
직접 접촉감염자의 분비물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됨

3. 증상

성홍열은 세균에 노출된 후 2~7일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시작된다. 39도 전후의 고열, 오한,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편도선이 부어올라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대표적으로 딸기혀(혀 표면이 붉고 돌기가 나타나는 증상)와 함께 몸통 상부에서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지는 선홍색 발진이 나타난다.

[성홍열 증상]
주요 증상설명
고열, 오한, 식욕부진, 구토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전신 증상
편도선 부음, 인후통목과 편도선이 부어 통증을 유발함
딸기혀혀가 붉어지고 돌기처럼 올라오는 특징적인 증상
선홍색 발진몸통 상부에서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져나가는 붉은 발진

4. 진단/검사

성홍열의 진단은 인두 분비물이나 혈액에서 세균을 분리해 진단하거나, 특징적인 임상 증상 및 병력에 기반하여 진단한다. 연쇄상구균 신속 검사 또는 배양 검사를 통해 균을 확인할 수 있다.

[성홍열 진단/검사]
검사 방법설명
인두 분비물 검사환자의 인두 분비물에서 연쇄상구균을 확인함
배양 검사환자의 혈액이나 인두 분비물에서 세균을 배양해 진단함
임상 증상 확인딸기혀, 선홍색 발진 등 성홍열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을 확인함

5. 치료

성홍열의 치료는 페니실린우선 추천되며, 경구용 아목시실린도 투여 가능하다. 페니실린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경우, 대체 항생제로 에리트로마이신이나 세팔로스포린을 사용할 수 있다. 항생제는 최소 10일간 투여된다.

[성홍열 치료 방법]
치료 방법설명
페니실린성홍열 치료에 우선 추천되는 항생제
아목시실린페니실린 대체 경구 항생제로 투여 가능
에리트로마이신, 세팔로스포린페니실린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대체 항생제

6. 경과/합병증

성홍열의 합병증으로는 감염 후 1주 이내에 발생하는 중이염, 림프절염, 부비동염, 국소 농양, 폐렴 등이 있으며, 감염 2~3주 후에는 급성 사구체신염류마티스열 같은 비화농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성홍열 경과/합병증]
합병증설명
중이염, 림프절염감염 후 1주 이내에 발생하는 합병증
급성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감염 2~3주 후에 발생하는 비화농성 합병증

7. 예방 및 생활습관

성홍열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기침 에티켓을 준수하고, 장난감이나 자주 사용하는 물건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염된 물건화농성 분비물은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또한,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 아이들이 사용하는 물건을 정기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성홍열 예방 수칙]

예방 방법설명
손 씻기, 기침 에티켓 준수일반적인 위생 관리를 통해 전염 예방 가능
장난감, 자주 사용하는 물건 소독아이들이 사용하는 물건을 정기적으로 소독하여
감염 위험을 낮춤
구강 위생 관리구강 내 연쇄상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함

8. 더 알아둘점

  • 성홍열의 항생제 치료는 최소 10일간 지속되어야 한다.
  • 항생제 내성이 생긴 경우, Immunoglobulin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양 검사 결과에 따른 감수성 있는 항생제를 선택하거나 2가지 이상의 항생제를 병용할 수 있다.
  • 성홍열 환자는 항생제 투여 후 최소 1일 동안 전염력이 있으므로 격리하는 것이 좋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