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플루[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1. 정의
신종플루(신종인플루엔자)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아형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신종플루는 사람에게서 가장 흔히 발병하는 인플루엔자 중 하나로, 돼지나 새 등 동물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2009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2. 원인
신종플루의 원인은 돼지에서 유래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공기 중으로 퍼져 감염된다. 기침, 재채기 등의 과정에서 배출된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떠돌다가,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면 감염이 발생한다. 또한, 바이러스는 설사 등 다른 체액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신종플루 원인]
원인 | 설명 |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돼지에서 기원한 바이러스로,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과 체액을 통해 전파됨 |
기침, 재채기 |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바이러스가 퍼져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감염됨 |
설사 등의 체액 | 감염자의 체액을 통한 접촉으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음 |
3. 증상
신종플루의 증상은 일반적인 감기와 비슷하지만, 발열,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이 더 심하다. 발열, 기침, 인후통 외에도, 설사나 구토 같은 위장관 증상이 10~25%의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어린이와 젊은 성인 사이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일부에서는 바이러스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잠복기는 1.5~3일에서 길게는 7일까지 보고된다.
[신종플루 증상]
주요 증상 | 설명 |
---|---|
발열, 기침, 인후통 | 일반적인 감기와 유사한 증상, 전신적으로는 신종플루가 더 심함 |
근육통, 피로감 | 신종플루의 전신 증상으로, 일반 감기보다 더 심하게 나타남 |
설사, 구토 | 일부 환자에서 나타나는 위장관 증상으로, 일반 감기와의 차별점 |
4. 진단/검사
신종플루가 의심되는 경우, 발열, 기침, 인후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호흡기 검체를 이용한 유전자 검사나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또한, RT-PCR(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를 통해 H1N1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다.
[신종플루 진단/검사]
검사 방법 | 설명 |
---|---|
호흡기 검체 검사 |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서 바이러스를 확인함 |
바이러스 배양 검사 | 바이러스를 배양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함 |
RT-PCR 검사 | 유전자 검사로 H1N1 바이러스를 확인함 |
5. 치료
신종플루 확진 환자나 의심 환자에게는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다. 타미플루로 잘 알려진 오셀타미버(oseltamivir)를 주로 사용하며, 이 약물은 증상 완화와 회복에 도움을 준다. 임산부에게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아직까지 태아에 미치는 명확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신종플루 치료 방법]
치료 방법 | 설명 |
---|---|
항바이러스제 | 오셀타미버(타미플루)로 증상 완화 및 회복 도움 |
대증 치료 | 고열, 기침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적인 치료 제공 |
6. 경과/합병증
신종플루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되어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만성 질환자나 임산부에서는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폐렴 등 중증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신종플루 경과/합병증]
합병증 | 설명 |
---|---|
중증 폐렴 | 일부 환자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중증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음 |
사망률 증가 | 만성 질환자와 임산부에게서 사망률이 더 높아짐 |
7. 예방 및 생활습관
신종플루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가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손을 씻고, 액체 비누나 알코올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항균 제품은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항균 비누나 항균 티슈는 신종플루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면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전파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과음이나 폭음은 면역력을 떨어뜨리므로 피해야 하며,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녹황색 채소 섭취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신종플루 예방 수칙]
예방 방법 | 설명 |
---|---|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손을 씻고, 액체 비누나 알코올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마스크 착용 | 기침, 재채기 등의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를 막을 수 있음 |
면역력 강화 |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녹황색 채소 섭취 등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신종플루 예방에 도움됨 |
8. 더 알아둘점
-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열에 약하므로, 가열하면 바이러스는 죽게된다. 반드시 가열한 음식을 섭취해야하는 한다.
- 신종플루는 침이나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므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예방에 효과적이다.
-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면 약 1주일 정도 증상이 지속된 후 자연적으로 회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