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1. 정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1형과 2형으로 나뉘며, 한 번 감염되면 바이러스가 신경에 잠복하여 평생 동안 존재한다. 감염 후에는 특별한 자극이 없으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열, 스트레스 등의 자극을 받으면 재발한다.
2. 원인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1형과 2형으로 나뉜다. 1형은 주로 입 주위에 감염되며, 2형은 주로 생식기에 감염된다. 감염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이루어지며,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침투한 후 잠복상태로 남아 있다가 자극을 받으면 증상이 재발한다.
바이러스 종류 | 주 감염 부위 | 감염 경로 |
---|---|---|
1형 단순포진 | 입, 입술, 구강 점막 | 침, 구강 접촉 |
2형 단순포진 | 생식기 주변 | 성적 접촉 |
3. 증상
1형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주로 입술, 구강 내 점막, 입천장 등에서 붉은 물집이 나타나며, 초기 감염 시 구내염이나 인후두염을 일으킨다. 재발 시 입 주위에 국소적인 물집이 생긴다. 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성병의 일종으로 생식기 주변에 물집이 생기며, 발열, 근육통, 피로감 등이 동반된다. 또한,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뇌염이나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증상 | 설명 |
---|---|
입 주위 물집 | 1형 단순포진에 의해 발생, 입술 및 구강 주변에 물집이 생김 |
생식기 물집 | 2형 단순포진에 의해 발생, 생식기 주변 물집과 발열 등 동반 |
뇌염, 뇌수막염 | 드물게 발생, 신경계 침범 시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음 |
4. 진단/검사
단순포진은 특징적인 물집 증상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물집은 포도송이 모양으로 무리지어 발생하며, 이는 단순포진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또한, 물집에서 채취한 물질을 검사하여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뇌염이 의심되는 경우 MRI를 통해 확인하거나 뇌척수액에서 바이러스 DNA를 검출할 수 있다.
진단 방법 | 설명 |
---|---|
물집 모양 관찰 | 포도송이처럼 무리 지은 물집을 확인함 |
바이러스 검사 | 물집에서 채취한 물질을 통해 바이러스 유무 확인 |
뇌염 확인 (MRI) | 뇌염이 의심될 경우 뇌 영상 검사를 시행함 |
5. 치료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완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재발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알약, 정맥주사, 연고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된다. 이 약물들은 바이러스를 제거하지는 않지만, 증상 기간을 단축시키고 재발 빈도를 줄일 수 있다.
6. 경과/합병증
1형 단순포진은 주로 열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재발하며, 2형 단순포진은 비교적 더 자주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 재발이 잦은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장기간 투여해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드물게 단순포진이 뇌염이나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실명이나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7. 예방/생활습관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체액 접촉을 피하고, 성적 접촉에 주의해야 한다. 1형 단순포진은 평상시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2형 단순포진은 항바이러스제를 장기 복용하여 증식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