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C형 간염[Chronic hepatitis C]

만성 C형 간염[Chronic hepatitis C]

1. 정의

만성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의해 감염이 발생한 후, 6개월 이상 간의 염증이 지속되는 질환을 말한다. 감염이 만성화되면 간 손상이 점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의설명
만성 C형 간염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간 염증

2. 원인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된다. 성적 접촉, 오염된 주사기, 침, 면도기 등을 통한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으며, 문신, 귀뚫기 등의 과정에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 감염된 산모가 신생아에게 수직으로 감염을 전파하는 경우도 있지만 확률은 매우 낮다. 바이러스가 혈류를 통해 간세포에 침입하면, 면역반응이 일어나며 간세포가 파괴되어 염증이 발생한다.

전파 경로설명
혈액 전파성적 접촉, 오염된 주사기, 침, 면도기 등을 통한 전파

3. 증상

대부분의 환자는 무증상이며, 정기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환자는 피로감, 식욕 저하, 구역, 구토, 근육통, 미열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으며, 소변 색이 진해지거나 심한 경우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으며, 만성 C형 간염이 진행되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다.

주요 증상설명
무증상대부분 환자는 증상이 없으며 건강검진으로 발견됨
피로, 식욕 저하간염으로 인해 일어나는 일반적인 증상
황달심한 경우 눈과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

4. 진단/검사

C형 간염을 진단하려면 6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간 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간 기능 이상이 지속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사(anti-HCV Ab)와 C형 간염 핵산 검사(HCV RNA)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진단 후에는 간암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하며, 이를 위해 3~6개월 간격으로 혈액 검사와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 항목설명
항체 검사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유무 확인
핵산 검사C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 검출
간 기능 검사간 기능 이상 여부 확인 및 간암 발생 여부 추적

5. 치료

만성 C형 간염 치료의 표준은 주사제인 페그인터페론(Peginterferon)과 경구약인 리바비린(ribavirin)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치료 기간은 바이러스의 유전형에 따라 24주 또는 48주가 소요된다. 이 치료는 고가이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약 80%의 환자에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경변증 및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치료 방법설명
페그인터페론 + 리바비린주사와 경구 약물 병용 치료, 바이러스 제거 시도
치료 기간바이러스 유전형에 따라 24주 또는 48주간 치료

6. 경과/합병증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약 30%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간경변증이 발생한 환자 중 일부는 간암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다. 간경변증은 간의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며, 간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다.

합병증설명
간경변증약 30%의 환자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간 손상이 심해짐
간암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암으로 발전할 위험 있음

7. 예방/생활습관

C형 간염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체액을 통한 감염을 차단하는 것이다. B형 간염과 달리 C형 간염은 백신이 없으며, 면역글로불린도 없다. 따라서 주사기는 반드시 1회용을 사용해야 하고, 성적 접촉 시에는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문신, 피어싱을 할 때는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하며, 타인의 체액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예방 방법설명
1회용 주사기 사용감염 방지를 위해 주사기는 한 번만 사용
성적 접촉 시 콘돔 사용체액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 예방
소독된 도구 사용문신, 피어싱 시 반드시 소독된 도구 사용

8. 더 알아둘점

  • C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이라도 만성 C형 간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 C형 간염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약 80% 이상의 환자가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완치될 수 있다.
  • C형 간염 예방을 위해서는 체액을 통한 전파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주사기, 침, 면도기 등을 타인과 공유하지 않으며, 성적 접촉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9. 결론

만성 C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진행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간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 백신이 없기 때문에 체액을 통한 전파를 막는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