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추 추간판 탈출증 (Cervic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Cervical HIVD)
1. 정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 흔히 목 디스크라고 불리는 질환은 경추에 있는 연골 조직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발생한다. 경추는 총 7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사이에 위치한 추간판은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경추 추간판이 후방으로 탈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2. 원인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주로 척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한다. 추간판의 구성 요소인 수핵과 섬유윤의 노화에 의해 수분 함량이 줄고, 이로 인해 추간판이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섬유윤이 약해진 상태에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섬유윤이 파열되면서 내부의 수핵이 외부로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잘못된 자세나 외부 충격이 목에 가해질 때에도 발병할 수 있다. 장시간 앉아있거나,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습관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주요 원인 | 설명 |
---|---|
퇴행성 변화 | 나이가 들면서 수핵의 수분 함량 감소, 섬유윤의 균열 발생 |
잘못된 자세 | 장시간 앉은 자세,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 |
외부 충격 | 사고 등으로 인한 목 부위의 충격 |
3. 증상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면 신경근이 자극되어 목, 어깨, 팔, 손바닥, 손가락 등에 통증이 발생한다. 신경 압박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가 다르며, 손이 저리고 힘이 빠져 물건을 놓치거나 팔을 들어 올리기 어려운 마비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주요 증상
- 통증: 목에서부터 팔, 손바닥까지 퍼지는 통증.
- 감각 이상: 손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현상.
- 근력 약화: 물건을 쥐거나 팔을 들어 올리기 어려운 증상.
4. 진단 및 검사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증상 및 진찰을 통해 의심되며, 몇 가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초기 검사로는 머리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증상이 심해지는지 확인하고, 팔의 근력과 감각을 검사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검사 방법이 사용된다.
검사 방법 | 설명 |
---|---|
엑스레이 검사 | 추간판의 모양과 척추뼈 구조를 확인 |
근전도 검사 | 신경의 기능 확인 |
MRI 검사 | 신경의 모습과 압박 부위를 정확히 확인 |
5. 치료 방법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목적은 통증 완화, 기능 향상, 재발 방지에 있다. 치료는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구분되며,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게 된다.
5.1 보조 치료 요법
신경근만 압박된 경우에는 안정, 보조기, 냉·온찜질, 약물치료, 견인 치료 등을 통해 증상 호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물리치료나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5.2 수술적 치료
보조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나 척수 압박 증세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술 방법은 디스크를 제거하고 위아래의 경추를 고정하는 방식이며, 경우에 따라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병행하기도 한다.
치료 방법 | 설명 |
---|---|
보조치료 | 약물,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등 |
수술치료 | 디스크 제거 및 척추 고정, 척추관 확장술 |
6. 경과와 합병증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보통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만,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수술 후 환자는 7~10일간 입원하여 경과를 살피며, 수술 후 6주에서 3개월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초기의 통증이나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구적인 감각 저하나 운동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수술 이후 일부 환자에게서 감염, 출혈, 재수술의 가능성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신중한 사후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수술 후 합병증 관리
-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상처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 수술 후 신경 압박 완화로 감각 이상이나 마비 증상이 개선되지만, 일부 회복이 더딘 환자의 경우 장기적인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7. 예방 및 생활습관
경추 추간판 탈출증 예방에는 올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한 시간마다 스트레칭을 하여 목 근육을 풀어준다.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며, 무거운 물건을 드는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바른 생활 습관
- 바른 자세 유지
- 낮은 베개 사용
- 한 시간마다 스트레칭
이와 같은 예방을 통해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